황근 hamabo hibiscus
분포 : 제주도, 남해 도서지방
특징 : 아욱과, 낙엽 반관목. 소지, 잎, 탁엽의 뒷면, 포 및 꽃받침에 황회색 성모가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고 편원형 또는 도란상 원형이다.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회백색 밀모가 있으며 가장 자리에 둔한 잔 톱니가 있고 길이 3~6cm 이며 탁엽은 길이 10mm인데 빨리 떨어진다. 꽃은 가지 끝의 엽액에 한 개씩 달리며 연한 황색이고 중앙이 암적색이며 지름 5cm 정도이고 꽃자루는 1cm이다. 삭과는 난형이며 잔털로 덮여 있고 5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이 달려 있다.
매화오리
Clethra barbinervis
한국의 경우 1속 1종만이 있는 한라산에만 자라는 희귀식물이다. 일본, 중국, 아메리카 등에도 분포한다. 수염꽃나무·까치수염꽃나무라고도 하며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잎 지는 큰키나무이다. 키는 3∼7m까지 자라고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밋밋하며 가지는 돌려난다. 잎은 어긋나며 때로는 가지 끝에서는 뭉쳐나고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홑잎으로 털이 있다. 여름에 흰 꽃이 가지 끝에서 이삭 또는 원뿔 모양을 이루며 모여 핀다.
작은이삭은 각 마디에 2개씩 달리는데 1개는 긴 대가 있고 1개는 대가 없다. 제1포영(苞潁:작은이삭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로 단단하다. 제2포영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로 1맥이다. 잎의 나비가 5∼8mm이며 모새달에 비해 원대가 가는 것을 가는잎모새달(var. angustifolius)이라고 한다.
토현삼(Scrophularia koraiensis)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우·작합산·수레부채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크고 굵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손바닥 모양 겹잎으로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3∼6개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5개가 나오며 큰 것은 지름 50cm 정도이고 윗부분의 것은 1∼4개의 작은잎이 나온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또한 작은잎은 길이 15∼35cm, 나비 10∼25cm로 뒷면 맥 위에 잎자루의 윗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피는데, 취산형 원추꽃차례로 줄기 끝에 크게 달려 많은 꽃이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그 조각은 긴 달걀 모양으로 흰색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5mm이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8월에 익는다. 한국(경북·강원·평북·함남·함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쌍떡잎식물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전체에 털이 없고 길이가 1∼5m이며 어릴 때는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지만 자라면서 녹색으로 되고 약간 분처럼 흰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의 심장형이며 길이가 4∼10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함께 나온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통 모양이며 녹색을 띤 자주색이고 안쪽에 털이 있으며 밑 부분이 둥근 모양으로 커지고 윗부분은 좁아졌다가 나팔처럼 넓어진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대는 6개인데 합쳐져서 1개처럼 된다. 씨방은 하위(下位)이고 가늘며 길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3cm이고, 밑 부분은 6개로 갈라져서 각각 가는 실처럼 갈라진 꽃자루에 매달려 낙하산 모양을 이룬다. 한방에서는 열매와 뿌리를 약재로 쓰는데, 열매는 해수·가래·천식·치질에 사용하고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으며, 뿌리는 장염·이질·종기·복부팽만에 사용하고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한국·일본·중국·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바늘까치밥나무(Ribes burejense Fr. Schm.)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귓과의 낙엽 관목이다.
줄기는 높이가 1m이고, 옆으로 비스듬히 누우면서 자란다. 때때로 줄기가 땅에 닿아 뿌리를 내려 새로운 개체가 되기도 한다. 줄기에는 붉은색 가시가 많이 돋아나 있다. 잎은 어긋난다. 연한 갈색 또는 적갈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핀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검은색이다.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란다. 한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함경북도의 표고 900m에 이르는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6년 7월에 강원도 대관령 남쪽에 위치한 발왕산 계곡에서 새로 발견된 바 있으며, 중국, 몽고 등지에도 분포한다. 계곡의 전석지 주변에서 사스래, 거제수, 주목, 분비나무, 산개벚지나무 등과 힙께 고산식생으로 이루어진 나무 밑에서 자생한다.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이나 3~5개로 갈라져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형이다. 넓이 2~6cm로서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많이 나 있다. 그 당시 발왕산에서 발견 된 것에는 꽃과 열매가 없었다. 꽃은 연한 갈색 또는 적갈색의 양성화로서 봄에 피는데 하나씩 밑으로 늘어지면서 액생(腋生)한다. 열매는 지름 1cm 정도의 난형장과(漿果)로서 가시가 있으며 가을에 검게 익는다. 아직까지 용도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앞으로 이러한 유전자를 잘 보존하여 유전육종의 수단으로 이용하게 될 것이다.
까막바늘까치밥나무
난장이이끼(andenboschia amabilis (Nak.) K. Iwatsuki)
처녀이끼과, 원산지는 한국, 일본이며 제주, 경북 울릉도 등지에서 나는 다년생초본이다.
잎은 엽병이 있고 드문드문 돋으며 엽신은 넓은 타원형 또는 삼각상 타원형이며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5~10cm, 나비 1~2cm 이고, 엽신은 길이 3~8cm 로서 끝이 뾰족하다. 포자낭군은 짧은 열편 끝에 달리고, 포막은 2개로 갈라지며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초령목Michelia compressa (MAX.) SARG
목련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학명은 Michelia compressa (MAX.) SARG.이다. 흑산도와 제주도에서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높이 16m에 달하고 가지가 길게 옆으로 뻗으며 잎이 무성하다.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윤채가 있고 긴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倒披針形 : 곯은 데를 째는 침을 거꾸로 한 모양)이며 예저(銳底)로서 길이 8∼12㎝, 너비 2∼4㎝이며 끝이 뾰족하다가 둔하게 되었다. 잎자루는 길이 2∼3㎝로서 누운 잔털이 있다.
봄철 가지 끝부근의 잎 겨드랑이에서 지름 3㎝ 정도의 꽃이 1개씩 달린다. 6개씩의 꽃받침 열편과 꽃잎은 긴 도란형(倒卵形)이며 희지만 밑부분의 겉은 붉은 빛이 돈다. 열매는 길이 5∼10㎝이며 주머니 같은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종자는 2개씩 나와서 실로 매달린다. 가지를 부처 앞에 꽃는다는 뜻을 따서 초령목이라고 불렀다. 흑산도에서 자라던 고목을 일본 사람들이 심은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한라산 돈내코 계곡에서 자연생이 발견됨으로 자연생이라고 믿게 되었다. 흑산도에서 자라던 가장 큰 나무는 죽었다. 제주 서귀포시 상효동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는 유전자원보존원에서 자라고 있는 초령목이 최근 꽃을 피웠다고 2일 밝혔다.
초령목 꽃잎은 6∼7개. 꽃잎 받침대 부분은 옅은 보라색을 띠고 있다. 꽃이 핀 초령목은 1970년 초 상효동 계곡에서 유전자원보존원으로 옮긴 나무로 수령 40년에 높이 16m다. 초령목은 3, 4월에 꽃을 피우는 큰키나무. 국내에서는 전남 신안군 흑산도와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흑산도 자생 초령목은 천연기념물 369호로 지정돼 보호를 받다 고사해 2001년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됐다. 제주지역에서는 2002년 남원읍 하천 계곡에서 폭우로 쓰러진 초령목이 발견돼 제주도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됐으나 4년 만에 말라 죽었다.
초령목은 가지를 불상 앞에 놓는 풍습에서 나무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흑산면 진리마을 당산내에 있는 희귀수목으로 약 300년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며 제주도와 흑산도에서만 서식하는 수목으로 거의 멸종되었고, 지정된 초령목은 현재 고사되었으나 주변에 어린 초령목 30여 그루가 자생하고 있다.초령목(招靈木)이란 이름은 이 나무가지를 불전(佛前)에 꽂아 귀신(鬼神)을 부른다는 설에 따라 붙여진 것이라 하여 일명 귀신(鬼神)나무라 부르기도 한다.1992년 10월 22일에 천연기념물 제 369호로 지정되었으며, 1993년도초령목 고사(수고 : 20m, 직경 : 2.4m, 수령 300∼500)됨. 주변에 어린 초령목 28그루 자생하고 있다. 신안군은 5일 "천연 기념물로 지난 1994년 고사(枯死)한 흑산도 초령목 주변에 자생하고 있는 어린 초령목 40여 그루를 기념물로 지정, 20일께 공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안군은 0.5~6 m 높이로 무리 지어 자라고 있는 이들 초령목 둘레에 우거져 있는 잡목을 없앨 계획이다.
세뿔투구꽃(미색바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 |||||||||||||||
|
금오돌쩌기·세뿔투구꽃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60∼80cm이다. 뿌리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내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고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며 밑동의 잎은 5각 모양이고 길이 6∼7cm, 나비 5∼6cm이다. 윗부분의 것은 긴 삼각 모양으로서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고 끝이 뾰족해진다.
꽃은 7∼9월에 하늘색, 노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꿀주머니는 관처럼 생기고 길이 약 1cm이다.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은 투구 모양이다. 2개의 꽃잎은 꽃받침 속으로 들어가 꿀샘이 되고 끝부분이 젖혀진다. 꽃자루는 길이 약 2cm이고 수술은 많으며 날개처럼 생긴다. 씨방은 3개로서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이며 11월에 익는다. 한국 특산종으로서 전라남도 백운산, 경상남도 지리산, 경상북도 청룡산 등지에 분포한다.
투구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 |||||||||||||||
|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새발처럼 생기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 각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에 달리며 작은꽃줄기에 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털이 나며 뒤쪽의 꽃잎이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는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어지며 씨방은 3∼4개로서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가 붙어 있고 타원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草烏)라고 하며 약재로 쓴다. 한국의 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매화마름 (Ranunculus kadzusensis Makino)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늪이나 연못, 논에서 자란다. 길이 약 50cm이다.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전부 물속에 들어 있으며, 3∼4회 깃꼴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다. 잎집과 잎자루는 짧고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과 마주난 꽃자루가 물 위에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지름 약 1cm, 꽃자루 길이 3∼7cm이다. 꽃잎은 5장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3∼4.5cm이다. 수술과 암술은 여러 개 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납작하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마르면 옆으로 달린 주름이 생긴다.
꽃은 물매화 비슷하고 잎은 마름 같이 생겼으므로 매화마름이라고 한다. 식물체가 가늘고 작으며 잎집과 꽃턱에 전혀 털이 없고 물 위에 뜨는 잎이 없는 것을 민매화마름(R. yezoensis)이라고 한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野花.식물.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보치마(Metanarthecium luteo-viride)/외 (0) | 2012.05.06 |
---|---|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외 (0) | 2012.05.06 |
희귀한 식물 (0) | 2012.05.06 |
에키나세아 (0) | 2012.05.06 |
물고랭이 (0) | 201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