哲學.易學.風水

자연 과학과 풍수사상

박송 입니다. 2012. 8. 15. 18:44

 

 

 

제1장 자연 과학과 풍수사상

 


  제1절 : (風). 바람
    1. 바람은 어디에서 부터오나? = 21
    2. 날씨가 흐린날 신경통을 더 느끼는 이유 = 24
    3. 풍수학에서 본 바람 = 27
  제2절 : (水). 물
    1. 물이란 무엇인가? = 29
    2. 물(지하수)은 어떻게 찾는가? = 32
    3. 물(水) 맛도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 36
    4. 물의 모습에 따라 지명(地名)도 지어졌다 = 39
  제3절 : (地). 지구와 우주와의 관계
    1. 북극성은 왜 지평선 너머로 지지않는가? = 42
    2. 태양과 달이 지구의 모양을 타원체로 만들었다 = 43
    3. 1958년 10월 5일부터 14일까지의 날짜는 있는가? = 46
    4. 인간은 지구력에 의해 자화된 움직이는 자석이다 = 50
    5. 왜 잠을 잘 때 머리를 동쪽으로 두어야 하나? = 52
    6. 달과 바이오리듬 = 53
    7. 생리불순인 여자는 달빛비치는 창가에서 살라 = 57
    8. 바이오리듬과 역학과의 관계 꿈과 바이오 리듬 = 60
  제4절 : (理). 理氣(九星과 오행(五行))
    1. 자연계의 영원한 가위, 바위, 보 - 오행(五行) = 63
    2. 오행의 성질과 분류방법 = 65
      가) 상징적 의미로써의 분류 = 65
      나) 색체로써의 분류 = 65
      다) 맛이나 감각적 분류 = 65
    3. 음(陰)과 양(陽)으로써 분류 = 67
      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분류 = 67
      나) 방위로써 오행(五行) 분류 = 70
      다)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이해 = 71
    4. 자연계의 영원한 술래잡기 - 구성 = 73
  제5절 : (方位). 방위
    1. 방위는 어떻게 정해졌나? = 81
    2. 왜 나침반은 정북(正北)을 가리키지 않나? = 83
    3. 나경(羅經)을 보는 법 = 88
    4. 팔괘(八卦)의 분류 = 101
    5. 방위학에서 나오는 살(殺) = 103
    6. 나쁜 방위가 되는 곳 = 103
    7. 좋은 방위가 되는 곳 = 105
  제6절 : (類). 유유상종(類類相從)을 철저히 지키는 자연계
    1. 왜 간지의 결합엔 갑축(甲丑) 등이 없는가? = 108
    2. 띠(地支)끼리도 서로 잘 어울리는 있다 = 109
    3. 돼지꿈도 띠에 따라 길흉이 다르다(삼합이란 무엇인가?) = 111
    4. 한 핏줄을 나눈 형제간에 원수처럼 지내는 사연(원진이란 무엇인가?) = 112
    5. 가속이 붙을 때 속도를 변환해야 하는 이유(삼재(三災)란 무엇인가?) = 114
    6. 살이란 어떤것들이 있나? = 117
      가) 심형살 = 117
      나) 양인살 = 118
      다) 역마살 = 119
  제7절 : (活). 활용편(活用篇)
    1. 팔문(八門)으로 보는 방법 = 120
    2. 팔문(八門)의 주제격 = 122
    3. 방위별 상징으로 발법 = 124
    4. 방향이 지니는 상징 = 125
    5. 신체와 관련지어본 방위 = 127
    6. 구성(九星)의 상의(象意) = 127
    7. 식구에 따라 방의 임자가 따로 있다(방의 배치구상) = 136
    8. 짐승도 잘되는 방향이 있다(동물의 배치구상) = 136
    9. 관청이 잘서야 백성이 편안하다(관공서의 배치구상) = 137
    10. 장사도 잘되는 방향있다(상가의 배치구상) = 137
    11. 직업에 따라 좋은 방향이 있다(직업별 배치구상) = 138
    12. 색체 심리학에서 본 구성(九星)과 오행(五行) = 139
    13. 색체가 주는 연상작용 = 140
제2장 음택론(陰宅論) : 좋은땅
  제1절 : 기본이론
    1. 풍수는 사상이지 종교 교리가 아니다 = 145
    2. 효(孝)는 신앙이 아니다 = 149
    3. 명칭의 이해와 접근 방법 = 150
  제2절 : 기맥론(氣脈論)
    1. 기맥이란 무엇인가? = 155
    2. 기맥에 얽힌 설화 = 157
      가) 도끼샘과 소녀장수이야기 = 157
      나) 일인에 잘려진 성인봉의 장군(將軍)터 = 158
      다) 중국인에 의해 잘려진 구렁목 = 159
      라) 지기로 서린 명당지 = 161
      마) 젖은 땅을 밟아도 다시 솟아오르는 소슬묘이야기 = 164
      바) 다섯 형제가 등과한 오미동 = 166
      사) 불고개, 치마고개와 말무덤 = 167
      아) 이여송이 혈맥끔은 달성의 아들바위 = 168
      자) 샘을 파면 서포리 여자가 미치는 우물의 사연 = 169
      차) 욕심부리다 망해버린 구룡동 사연 = 171
      카) 나쁜짓해서 벌받은 김판서 묘 = 172
      타) 무척산의 천지 = 173
      파) 영지(靈地) 이설당(梨雪堂) = 174
      하) 미타산의 유학사(留學寺)와 무학대사 = 176
    3. 에너지 응집으로 보는 기(氣) = 177
    4. 지질의 분포로 보는 기(氣) = 182
    5. 화학 성분으로 보는 기(氣)(돌에 따라 물맛도 다르다) = 187
    6. 지형의 생김새와 기(氣)의 흐름 = 189
    7. 풀을 보고서도 땅의 특성을 알 수 있다 = 197
  제3절 : 땅의 외형을 살피는 법
    1. 성(星)과 요(曜)로 구분하는 법 = 200
    2. 산의 형태를 구분하는 법 = 205
    3. 용(龍)의 생김새로 보는 법 = 211
    4. 용의 생김새에 따른 길흉의 영향 = 213
    5. 사(砂)로써 구분하는 법 = 214
      가) 길격이 되는것 = 216
      나) 흉격으로 치는 것 = 216
    6. 안산(案山)과 조산(朝山)을 보는 법 = 218
    7. 혈의 앞과 뒤의 모습(前應後照)로 보는 법 = 219
    8. 좌우의 보필(補弼)로 보는 법 = 219
    9. 낙산(樂山)으로 보는 법 = 220
    10. 혈의 전후좌우에 있는 산을 보는법 = 220
    11. 명당의 생김새로 보는 길흉의 영향 = 222
    12. 물의 흐름으로 보는 법 = 223
    13. 물의 종류에 따른 길흉 판단법 = 224
    14. 24山 득수로 보는 법 = 230
    15. 정음정양에 의한 득파법(得破法) = 246
  제4절 : 산의 모습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
    1. 산의 모습에 이름을 붙이는 법 = 248
    2. 확정된 (신도안) 新市 건설계획 = 258
    3. 유형을 분류 하는 법 = 262
      가) 사람의 모습 = 263
      나) 들짐승의 모습 = 277
      다) 새의 모습 = 308
      라) 기타 유형 = 319
  제5절 : 혈(穴)을 찾는 법
    1. 혈은 어디에 맺어지고, 어떻게 생겼는가? = 340
    2. 조산(朝山)의 증혈로 알수 있는 혈의 위치 = 350
    3. 전수(前水) 증혈로 알수 있는 혈의 위치 = 351
    4. 낙산(樂山)으로 알수 있는 혈의 위치 = 352
    5. 용호(龍虎)로 알수 있는 혈의 위치 = 355
    6. 천심십도(天心十道)로 알수 있는 혈의 위치 = 355
    7. 분합(分合)으로 알수 있는 혈의 위치 = 356
    8. 찾기 힘든 괴혈 = 356
    9. 어떤 혈(穴)을 피해야 하나? = 357
  제6절 : 좌향(坐向)을 정하는 법(좋은 혈을 구해도 좌향을 정하지 못하면 氣를 얻지 못한다) = 360
    1. 정침(正針)의 삼합국(三合局) = 361
    2. 천간의 포태운행(胞胎運行) = 361
    3. 봉침(縫針)의 사대국(四大局) 삼합(三合) = 363
    4. 물의 나가는 방향에 따른 입향의 방향 = 366
      가) 정고(正庫) = 367
      나) 차고(借庫) = 368
      다) 문고(文庫) = 370
      라) 차문고(借文庫) = 372
    5. 이조왕 등의 좌향표 = 374
  제7절 : 묘지 문제
    1. 묘지 - 앞으로 어떻게 이용돼야 하나? = 379
제3장 양택론(陽宅論) : 좋은집
  제1절 : 가상학의 기본이론
    1. 가상학이란 어디에 근거를 두고 있나? = 391
    2. 영원한 100점짜리의 양택은 없다 = 393
    3. 중심은 왜 찾아야 하며 어떻게 잡는가? = 402
    4. 택지의 모양에 따라 환경도 다르게 된다 = 406
  제2절 : 좋은 택지의 모양으로 보는 법
    1. 터와 집의 외형으로 보는 법 = 409
      가) 신혼 초부터 북쪽의 길상을 찾아라 = 410
      나) 장남을 출세 시키려면 동쪽을 살펴라 = 410
      다) 부인덕을 보려면 서쪽을 살펴라 = 411
      라) 출세하려면 남족의 길상을 찾아라 = 412
      마) 상속자가 없으면 북동쪽을 살펴라 = 412
      바) 딸 부잣집은 남동쪽에 길상인 집을 찾으라 = 412
      사) 결(凹)이 있으면 손해가 되는 남서쪽 = 413
      아) 북서쪽이 길상이면 멋쟁이 아빠가 된다 = 414
    2. 집의 들어가고 나온 모양에 따라 길흉이 다르다(만(凸)과 결(凹)로 보는법) = 415
    3. 같은 구조라도 놓이는 위치따라 길흉이 다르다 = 419
  제3절 : 기본 배치 구상
    1. 24방위에 따른 배치 구성 = 421
    2. 가족의 구성상 입장에 따른 공간배치 방법 = 424
    3. 사용목적에 따른 배치 방법 = 427
  제4절 : 아파트를 보는 법
    1. 아파트는 어떻게 보는가? = 429
    2. 아파트의 단지배치 계획은 어떻게 돼야하나? = 447
    3. 주민이 객(客)이 되고, 상가가 주(主)로 바뀐 단지 = 449
  제5절 : 좋은 주택과 건물을 보는 법
    (삼요(三要)에 의한 판단 법)
    1. 서사택(西四宅)의 가상 = 454
      가) 북서향의 대문이 있는 집 = 454
      나) 남서향의 대문이 있는 집 = 461
      다) 북동향의 대문이 있는 집 = 466
      라) 서쪽의 대문이 있는 집 = 470
    2. 동사택(東四宅)의 가상 = 476
      가) 북쪽으로 대문이 있는 집 = 476
      나) 남쪽으로 대문이 있는 집 = 481
      다) 동쪽으로 대문이 있는 집 = 487
      라) 남동쪽으로 대문이 있는 집 = 493
  제6절 : 본인과 맞는 집을 찾는 법
    1. 본인과 맞는 집을 찾는 법 = 499
    2. 별장이나 전원주택 일수록 까다로운 요소 = 505
    3. 택지로써 피해야 되는 곳 = 508
    4. 상가(商街)의 점포도 업종에 따라 길한 방향이 있다 = 509
    5. 좋은 주거란 무엇을 말함인가? = 512
    6. 집은 클수록 빈 겁데기가 되는 쉽다 (오허(五虛)와 오실(五實)의 이해) = 514
  제7절 : 주택의 개별적 요소로 보는 법
    1. 물과 길(道)이 미치는 영향 = 517
    2. 대문은 집의 얼굴이다 = 525
      가) 귀인문을 찾는 법 = 528
      나) 대문을 세워서 않되는 방위(천겁문) = 529
    3. 담장으로 보는 법 = 530
    4. 정원으로 보는 법 = 533
      가) 바람이 심한곳에서의 선택 요령 = 535
      나) 토양의 성질에 따라 선택하는 요령 = 535
      다) 대기 오염에 다른 선택요령 = 536
      라) 열매의 색깔로 관상하는 방법 = 536
      마) 가상학에서 길상으로 치는 경우 = 539
      바) 가상학에서 흉하게 치는 경우 = 539
    5. 계단과 길은 계곡 역할을 한다 = 540
    6. 우물, 연못, 풀장은 어디에 둬야하나? = 541
    7. 부엌은 어디에 두는 것이 가장 좋은가? = 542
    8. 욕실과 변소 = 545
    9. 지하실과 창고 = 547
    10. 마음이 소심하면 천장을 높여라(천장의 높이관계) = 548
    11. 너무 활동적인 아이는 좁은 방을 쓰게 하라(방의 크기와의 관계) = 549
    12. 나무에도 위·아래가 있다(재료의 시공) = 552
    13. 두집을 합친 경우, 왜 나쁜가? = 554
    14. 이사(移徙)의 방향을 정하는 법 = 557
  제8절 : 증·개축 하는 법
    1. 증축을 해야 하는 경우 = 561
    2. 자기의 본명성과 나이에 따른 복합적용 방법 = 568
    3. 내부를 개수하는 경우 = 581
  제9절 : 가구의 배치는 어떻게 해야 하나?
    1. 실내가구는 어떻게 배치해야 하나? = 583
    2. 개인별 목적에 따른 종합배치 방법 = 586
      가) 아들을 얻고자 하는 경우 = 588
      나) 딸을 얻고자 하는 경우 = 590
      다) 입시생을 위한 배치 = 592
      라) 교제관계를 넓히고자 하는 경우 = 594
      마) 딸을 좋은곳으로 출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 596
      바) 좋은 규수를 며느리로 얻고자 하는 경우 = 598
      사) 건강을 얻고자 하는 경우 = 600

'哲學.易學.風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로 보는 사주풀이   (0) 2015.04.20
별자리 이름알기  (0) 2015.01.28
전국 주소지 한자  (0) 2012.04.28
집안의 풍수 10가지   (0) 2012.01.04
재미로 보는/꿈풀이 세상   (0) 2011.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