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명 |
황석영 |
필명 |
|
출생년월일 |
1943 년 01 월 14 일 |
출생지 |
|
주소 |
(우편번호: -)
|
전화번호 |
-- |
휴대폰 |
-- |
이메일 |
|
홈페이지 |
|
|
|
학력 |
 |
|
 |
|
경복고등학교 졸업 숭실대학교 철학과 수료 동국대학교 철학과 졸업
|
|
 |
|
 |
|
수상경력 |
 |
|
 |
|
1962년 사상계 신인문학상 수상,수상작 단편소설 <입석부근> 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당선작 단편소설 <탑>,희곡 <환영의 돛> 1989년 만해문학상 수상
|
|
 |
|
 |
|
주요활동 |
 |
|
 |
|
1985년 자유실천문인협회 대표실행위원 1985년 전남민중문화연구회 대표 실행위원 1985-1987년 민중문화협회 대표실행위원 1988년 민족문화작가회의 이사 1988년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1989년 민예총 대변인 1989년 문익환목사와 함께 방북 1989 - 1993년 해외체류 1993 - 1998년 국가보안법 밀입북죄로 7년형 선고, 복역 1999년 미르(영화사) 대표
|
|
 |
|
 |
|
작품 및 저서 |
 |
|
 |
|
1962년 단편소설 <입석부근> 사상계 1970년 단편소설 <탑>, 희곡 <환영의 돛> 1971년 단편소설 <가화> 현대문학 1971년 단편소설 <줄자> 월간 중앙 1972년 단편소설 <아우를 위하여> 신동아, 단편소설 <한씨연대기> 창작과 비평, 단편 소설 <적수> 월간 중앙, 단편소설 <기념 사진> 문학사상, 단편소설 <이웃사람> 창작 과 비평 1973년 단편소설 <노을의 빛> 월간 중앙, 단편소설 <삼포가는 길>, 단편소설 <야근 >, 단편소설 <섬섬옥수> 한국문학 1974년 소설집<객지>,<북망 멀고도 고적한 곳>, 단편소설 <장사의 꿈> 문학사상, 단 편소설 <향읍> 한국문학 1975년 단편소설 <북망>, 단편소설 <멀고도 고적한 곳> 문학사상, 단편소설 <산국> 한국문학, 단편소설 <영등포 타령> 문학사상, 단편소설 <수추의 혀> 세대 1976년 단편소설 <몰개월의 새>,단편소설 <한씨 연대기> 단편소설 <돼지꿈> 1980년 희곡집 <장산곶매> 소설 <어둠의 자식들> 1984년 장편소설 <장길산> 1985년 장편소설 <장길산(중국어판)>,장편소설 <무기의 그늘>, 광주항쟁르포집 <죽 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1986년 소설집 <객지(일어판)> 1988년 소설집 <황석영소설선집(대만판)>, 장편소설 <열애>, 1989년 장편소설 <사람이 살고 있네>, 장편소설 <무기의 그늘(일어판> 1994년 장편소설 <무기의 그늘(영문판)>, 북한방문기 <사람이 살고 있었네> 1996년 <5.18 그 삶과 죽음의 기록(공)> 2000년 장편소설 <오래된 정원> 2000년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개정판)> 2000년 소설 <아들을 위하여> 2001년 동화집 <모랫말 아이들> 문학동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