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 유명 글 모음

윤선도/오우가

박송 입니다. 2010. 5. 22. 12:25

 

 


***오우가(五友歌)***

<고산(孤山) 尹善道>


[전문풀이]

[서시(序詩)]

내 버디 몇이나 하니 수석(水石)과 송죽(松竹)이라.
동산에 달 오르니 긔 더욱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섯 밖에 또 더하여 머엇 하리.

나의 벗이 몇이나 있느냐 헤아려 보니 물과 돌과 소나무, 대나무다.
게다가 동쪽 산에 달이 밝게 떠오르니 그것은 더욱 반가운 일이로구나.
그만 두자, 이 다섯 가지면 그만이지 이 밖에 다른 것이 더 있은들 무엇하겠는가?









구름 빗치 조타 하나 검기를 자로 한다.
바람 소리 맑다 하나 그칠 적이 하노매라.
조코도 그츨 뉘 업기는 믈 뿐인가 하노라.

구름의 빛깔이 아름답다고는 하지만, 검기를 자주 한다.
바람 소리가 맑게 들려 좋기는 하나, 그칠 때가 많도다.
깨끗하고도 끊어질 적이 없는 것은 물뿐인가 하노라.









고즌 므스 일로 퓌며셔 쉬이 디고
플은 어이 하야 프르는 듯 누르나니
아마도 변티 아닐손 바회 뿐인가 하노라.

꽃은 무슨 까닭에 피자마자 곧 져 버리고
풀은 또 어찌하여 푸르러지자 곧 누른 빛을 띠는가?
아무리 생각해 봐도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은 바위뿐인가 하노라.









뎌우면 곳 퓌고 치우면 닙 디거늘
솔아 너는 얻디 눈 서리를 모르는다.
구천(九泉)의 불희 고든 줄을 글로하야 아노라.

따뜻해지면 꽃이 피고, 날씨가 추우면 나무의 잎은 떨어지는데
소나무여, 너는 어찌하여 눈이 오나 서리가 내리나 변함이 없는가?
그것으로 미루어 깊은 땅 속까지 뿌리가 곧게 뻗쳐 있음을 알겠노라.





나모도 아닌 거시 플도 아닌 거시
곳기는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는다.
뎌러코 사시예 프르니 그를 됴햐 하노라.

나무도 아니고 풀도 아닌 것이, 곧게 자라기는 누가 그리 시켰으며
또 속은 어이하여 비어 있는가?
저리하고도 네 계절에 늘 푸르니, 나는 그것을 좋아하노라.





쟈근 거시 노피 떠셔 만물을 다 비취니
밤듕의 광월(光月)이 너만 하니 또 잇느냐.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 벋인가 하노라.

작은 것이 높이 떠서 온 세상을 다 바추니
한밤중에 광명이 너보다 더한 것이 또 있겠느냐?(없다)
보고도 말을 하지 않으니 나의 벗인가 하노라.



[이해와 감상]

작자가 56세 때 해남 금쇄동(金鎖洞)에 은거할 무렵에 지은
《산중신곡(山中新曲)》 속에 들어 있는 6수의 시조로
수(水)·석(石)·송(松)·죽(竹)·월(月)을 다섯 벗으로 삼아
서시(序詩) 다음에 각각 그 자연물들의 특질을 들어
자신의 자연애(自然愛)와 관조를 표백하였다.

이는 고산 문학의 대표작이라 할 만한 것으로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나타내어
시조를 절묘한 경지로 이끈 백미편(白眉篇)이다.


[서시(序詩)]

'오우가(五友歌)'의 서시로서, 초, 중장은 문답식으로 다섯 벗을 나열하였다.
자연과 벗이 된 청초하고 순결한 자연관을 고유어의 조탁으로 잘 표현하였다.
'또 더?야 머엇?리'에서 작자의 동양적 체관(諦觀)을 발견할 수 있다.



[水]

'오우가(五友歌)' 중 물의 영원성을 기린 노래이다.
구름과 바람은 가변적(可變的)이요,
순간적(瞬間的)이라 한다면
물은 영구적(永久的)이다.
물은 구름이나 바람과 달리
깨끗하고 항시 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산이 좋아하는 자연이 되고 있다.


[石]

'오우가(五友歌)' 중 바위의 변하지 않는 생명성을 찬양한 노래이다.
꽃이나 풀이 가변적이고 세속적이라 한다면
바위는 영구적이요 철학적이다.
꽃이나 풀이 부귀 영화의 상징이라면
바위는 초연(超然)하고 달관한 군자의 모습이다.

'오우가(五友歌)' 중 소나무의 변함없는 푸름에서
꿋꿋한 절개를 느껴 찬양한 노래이다.
소나무는 역경에서도 불변하는 충신 열사(烈士)의 상징으로 여긴다.

여기에서도 절의의 상으로서의 소나무를 칭송하면서
자신의 강직한 고절(高節)을 나타내었다.



[竹]

'오우가(五友歌)' 중 대나무의 푸름을 찬양하여
아울러 그가 상징하는 절개를 나타낸 것이다.
대나무는 사군자(四君子)의 하나로 옛 선비들의 굳은 절개를
상징하는 상징물로서 사랑을 받아온 것이다.


[月]

'오우가(五友歌)' 중 달(月)을 노래한 것인데
달이란 작은 존재로 장공(長空)에 홀로 떠서 세상만 비출 뿐
인간의 미, 추, 선, 악을 꼬집지도 헐뜯지도 않아 좋다고 했다.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扈從)치  않았다고 해서
반대파들로부터 논척을 받고 영덕에 유배되기까지 한 고산(孤山)으로서는
말없이 장공에 떠서 보고도 말 아니하고
오직 세상만 골고루 비춰주는 달만이 벗이라고 할 만하다.


[핵심 정리]

작자 : 윤선도(尹善道:1587∼1671)
출전 : 고산유고 중 산중신곡
종류 : 연시조
성격 : 찬미적
제재 : 水·石·松·竹·月
주제 : 오우(五友)인 水·石·松·竹·月을 기림
경력 : 1675년 이조판서 추증
         1658년 동부승지

 
 
 

           초연곡(初筵曲)  / 윤선도 

-초연곡(初筵曲) : 연회석에서 임금을 간하기 위하여 지은 노래. 윤선도는 봉림대군(효종)의 스승이었음

 

■ 원문 -<제1수>

집은 어이하야 되엳난다. 대장(大匠)의 공(功)이로다

나무는 어이하야 고든다. 고조즐을 조찯노라.

이 집의 이 뜯을 알면 만수무강(萬壽無疆) 하리라.

 

<현대어 풀이>

집이라 하는 것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대목수의 공덕이로다.

나무는 어이하여 곧게 펴졌는가. 먹고자의 줄을 따라 그리 되었노라.

이 집의 원리를 아시면 나라를 다스림에 만수무강하오리다.

 

* 고조줄:먹고조의 줄. 먹고조는 현대어로 ‘먹통’, 즉 목공이나 석공이 먹줄을 치는 데 쓰는, 나무로 만든 그릇을 말함.

 

■ 원문 -<제2수>

술은 어이하야 됴하니 누록 섯글 타시러라.

국은 어이하야 됴하니 염매(鹽梅) 탈 타시러라.

이 음식 이 뜯을 알면 만수무강(萬壽無疆) 하리라.

 

<현대어 풀이>

술은 어찌하여 좋은가? 누룩을 섞은 탓이로다.

국은 어이하여 맛이 좋은가? 소금을 타서 맛을 낸 탓이로다.

이 음식의 원리를 아시면 나라를 다스림에 만수무강하오리다.

 

* 염매:① 음식의 간을 알맞게 맞춤. ② 신하가 임금을 도와서 정사를 바르게 하도록 함.

 

<해제>

‘초연곡(初筵曲)’이라 함은 경연(經筵)의 자리, 즉 임금이 학문을 닦기 위하여 학식과 덕망이 높은 신하를 불러 경서와 올바른 성현의 가르침에 관해 강론하던 자리에서 임금에게 간언하기 위해 처음 지은 노래라는 뜻이다.[연회석상에서 임금께 풍간(諷諫)하기 위하여 지은 것] 각수의 전반부(조, 중장)는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우회적으로 표현했고, 후반부(종장)는 만수무강하게 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총 2편의 시조로 되어 있는 이 노래는 문집 <고산유고(孤山遺稿)>권 6에 전한다.

 

▣ 요점 정리

갈래 : 평시조, 연시조

성격 : 교훈적, 설득적, 비유적, 상징적

주제 : 성현의 도리를 따라 정치를 행하는 임금과 신하의 바람직한 자세 / 만수무강 기원

특징 : 매 수의 끝은 ‘~한다면 ~할 것이다’와 같은 조건 제시법의 화법으로 끝맺고 있음

구성

제1수 : 성현의 도리를 따르는 임금과 신하의 행실

제2수 : 좋은 정치를 위한 임금과 신하의 노력

 

▣ 감상과 이해

- 이 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제재를 통해서 만수무강을 기원하고 있다. 집을 만드는 장인의 마음과 나무의 곧은 모습을 알고 그를 본받으면 만수무강할 것이라는 것과, 술과 국을 만들 때에는 거기에 맞는 재료를 통해서 만든다는 뜻을 알면 만수무강할 것이라는 것을 대구법을 통해 노래하고 있다.

- 이 노래는 나라의 연회 석상에서 임금께 풍간(諷諫)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첫째 수에서 대장(大匠)의 공은 충신들의 공로를, 나무가 곧음은 임금의 인덕을, 고자줄은 성현의 법도를 가리킨 것이고,

   둘째 수에서 술과 국은 임금의 성적을, 누룩 섞을 탓과 염매 탈 탓은 어진 신하들의 보필할 탓임을 비유한 것이다. 임금의 만수무강을 비는 충성심에 곁들여 첫 수에서는 성현지도(聖賢之道)를, 둘째 수에서는 보필대신(輔弼大臣)을 잘 나타내고 있다.

 

 

 

 

 

 

 

 

 

 

 


 

'문인 유명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동인   (0) 2010.05.24
이광수   (0) 2010.05.24
훼밍웨이  (0) 2010.05.20
윤선도  (0) 2010.05.19
마음아/서경덕  (0) 201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