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풍경

남원

박송 입니다. 2012. 4. 22. 18:38

 

 

 

 

겨울철 야외 레저체험 - 전북 남원
2012년 02월 10일 (금) 17:35:55 정소현 기자 coda0314@naver.com

[뉴스포스트= 정리 정소현 기자]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지리산 서쪽 끄트머리에 봉긋하게 솟은 바래봉은 4월 중순부터 한 달 간 최다 인파가 몰리는 국내 최대의 철쭉 군락지다. 그런데 최근 바래봉 일대가 겨울의 한복판에서 때아닌 대규모 손님맞이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시작된 ’제1회 지리산 남원 바래봉 눈꽃축제(1월 6일~2월 25일)’ 때문이다.

   
광한루원 완월정과 호수-여행작가 이정화.

산악인 오은선과 함께하는
‘눈꽃등반대회’도 예정

눈의 고장 강원도라면 모를까, ‘따뜻한 남쪽 나라’ 남원에서 겨울축제라니. 언뜻 생뚱맞아 보이지만, 운봉읍의 독특한 지형을 알고 나면 아하! 고개가 끄덕여진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운봉읍은 평지가 아니라 해발 500미터 높이에 위치한 고원분지다. 1월 평균 적설량이 50~100cm에 이르는데다 한번 내린 눈은 여간해선 잘 녹지 않는다. 여기에 한겨울 영하의 매서운 추위가 더해지면 아름다운 설경을 감상하고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여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눈사람 만들기 2-여행작가 이정화.

축제의 무대는 바래봉 아랫동네인 운봉읍 용산리의 허브밸리 주변이다. 평소 700여대의 차량을 수용하던 넓은 주차장 전체가 축제를 위해 눈썰매장과 얼음썰매장, 눈싸움장, 빙벽체험장, 식당 등으로 완벽히 변신을 마쳤다.  

축제장에서 최고의 인기를 독차지하는 것은 역시 눈썰매장이다. 일렬로 앉아 출발을 기다리는 아이들의 표정엔 기대와 설렘이 가득하다. 출발 신호가 떨어지고, 알록달록 형형색색의 썰매들이 활주를 시작하자 여기저기서 즐거운 비명들이 터져 나온다. 슬로프에서 넘어지고 구를지언정 열 번이고 스무 번이고 타고 또 타게 만드는 중독성이 눈썰매의 매력이다.

눈썰매장이 초중고생과 어른들 차지라면 얼음썰매장은 유아들과 초등학교 저학년생들이 꽉 잡고 있다. 부모들은 저마나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며 자녀에게 썰매타는 법을 가르쳐 주느라 열심이다.

   
얼음썰매장-여행작가 이정화.

얼음판에서 팽이를 돌리는 재미도 꽤 쏠쏠하다. 나무로 만든 전통 팽이를 처음 본 아이는 마냥 신기하기만 하고, 젊은 아빠는 아이 앞에서 실력을 뽐내보고 싶지만 생각처럼 쉽지가 않다.

팽이치기에서 구겨진 체면을 살리기엔 연날리기가 제격이다. 얼레에 감긴 실을 풀었다 감았다 하는 동안 점점 높이, 점점 멀리 올라가는 연을 바라보는 아이들 입에선 ‘와~’하는 탄성이 이어진다.       

눈으로 만든 조형물들 중에서는 이글루의 인기가 압도적이다. 둥근 지붕 위로 올라가 비료포대를 타고 내려오는 스릴은 눈썰매 저리가라다.

겨울 지리산의 아름다움을 본격적으로 만끽하려면 눈꽃이 곱게 피어난 등산로를 따라 정상까지 트레킹에 나서 볼 것. 2월 중 산악인 오은선 씨와 함께하는 눈꽃등반대회도 예정되어 있다.

좀더 다이내믹한 겨울 레포츠를 체험하고 싶다면 빙벽등반에 도전해 보자. 얼음을 찍으며 올라갈 수 있도록 빙벽화에 아이젠을 장착하고, 일종의 안전벨트인 하네스를 허리에 찬 후 안전모까지 쓰고 나면 준비 끝.

   
이글루(얼음집) 2-여행작가 이정화.

피켈로 빙벽을 ‘탁’ 찍으면서 두 팔을 당기고, 아이젠으로 얼음을 찍으며 천천히 올라간다. 높이는 4미터에 불과하지만, 야무지게 얼려 놓은 새하얀 빙벽을 마주하고 한발 한발 오르노라면 ‘이 맛에 빙벽등반을 하는구나’ 싶은 짜릿한 쾌감이 전해진다. 빙벽체험 프로그램은 축제 기간 중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에서 12시 사이에 지리산 북부 산악구조대가 운영한다.  

각종 체험거리와 먹거리도 풍성

축제장에는 각종 체험거리와 먹을거리도 풍성하다. 추억의 달고나 만들기와 허브피자 만들기는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다. 원하는 캐릭터를 골라 마커펜으로 예쁘게 색칠하는 팬시우드 공예도 쉽고 재미있어 인기다. 색칠이 끝나면 줄을 끼워 휴대폰 고리로 만들어 준다. 

잔칫집에 음식이 빠지면 서운한 일. 눈밭을 뒹구느라 허기진 속을 채우는 데는 닭육수로 맛을 낸 뜨끈한 떡국이 최고다. 떡볶이, 오뎅, 김밥은 오천만의 영원한 대표 간식, 입으로 호호 불어가며 까먹는 군고구마는 겨울날의 낭만을 한껏 살려준다.   

축제장으로 탈바꿈한 주차장을 포함해 운봉읍 용산리 일대는 원래 대규모 허브농장이 들어서 있는 ‘지리산 허브밸리 단지’다. ‘춘향허브마을’로도 잘 알려진 용산리에는 허브식물원과 가공단지, 공원이 갖춰져 있고, 민박과 체험장도 이용할 수 있다. 지리산에 자생하는 1,450여 종의 식물 중 400여점을 압화로 제작 전시 중인 지리산자생식물전시실은 생동감 넘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좋다.   
 

   
추억의 달고나 만들기-여행작가 이정화.

광한루원과 춘향테마파크는 남원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명소들이다. 광한루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누원. 광한루를 중심으로 영주(한라산), 봉래(금강산), 방장(지리산) 등 세 개의 삼신산이 있는 호수, 오작교, 춘향사당, 월매집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천히 산책을 즐긴 후 그네타기와 투호놀이도 해 볼 수 있다. 매년 5월에는 춘향제도 열린다.

광한루원에서 다리를 건너 맞은편에 위치한 남원관광단지에는 춘향테마파크, 춘향문화예술회관, 국립민속국악원 등의 문화시설을 비롯해 놀이공원인 남원랜드, 한옥호텔, 음식점, 전망대 등이 고루 갖추어져 있다.
 


특히 춘향전 스토리를 만남, 맹약, 사랑과 이별, 시련, 축제 등 5개의 장으로 나누어 조성한 춘향테마파크는 가족여행객과 연인들 모두가 좋아하는 곳. ‘사랑과 이별의 장’에는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춘향뎐’을 촬영한 세트장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단심정에 오르면 남원관광단지 내 시설들과 남원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사진·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www.visit.or.kr

<당일 여행코스>
지리산 남원 바래봉 눈꽃축제→지리산 허브밸리 단지(지리산자생식물 압화전시실)→광한루원→춘향테마파크

<1박2일 여행코스>
첫째날 : 지리산 남원 바래봉 눈꽃축제→지리산 허브밸리 단지(지리산자생식물 압화전시실)→실상사
둘째날 : 광한루원→춘향테마파크→혼불문학관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남원시 문화관광 http://tour.namwon.go.kr
 - 춘향허브마을 http://chunhyang.go2vil.org
 - 춘향테마파크 www.namwontheme.or.kr

○ 문의전화
 - 남원시 종합관광안내 센터 063)632-1330
 - 남원시 운봉읍사무소 063)620-3802
 - 광한루원 063)620-8901~3
 - 춘향테마파크 063)620-6836

○ 대중교통 정보
[ 버스 ] 센트럴터미널→남원, 하루 15회(주중), 17회(주말) 운행
(첫차 06:00, 막차 22:20, 약 3시간 소요)
* 문의 : 남원고속버스터미널 063)632-2000

[ 철도 ] 용산역→남원역 하루 14회 운행
(첫차 05:40, 막차 22:45, 일반 약 3시간 40분, KTX 약 2시간 35분 소요)

○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대전통영고속도로(진주 방향)→함양IC→지리산IC→운봉읍

○ 숙박정보
 - 그린피아모텔 : 주천면, 063)636-7200 (굿스테이)
 - 토비스콘도 : 산내면, 063)636-3663, www.tovice.net
 - 일성콘도 : 산내면, 063)636-7000, http://ilsung.ilsungcondo.co.kr
 - 흥부골 자연휴양림 : 인월면, 063)636-4032
 - 한옥펜션 꼬부랑길 : 산내면, 010)3320-0275, www.ggoburang.com
 - 켄싱턴리조트 지리산 남원 : 어현동(남원관광단지 입구), 063)636-7007,                                www.leisurvice.com
 - 한옥형 호텔 춘향가 : 어현동(남원관광단지 내), 063)636-4500,                                       626-0330, www.chunhyangga.com

○ 식당정보
 - 황산토종정육식당 : 지리산흑돼지·순대국, 운봉읍, 063)634-7293
 - 남원추어탕 : 추어탕, 천거동, 063)625-3009
 - 새집추어탕 : 추어탕, 천거동, 063)625-2443
 - 남원두부마을 : 한식, 어현동, 063)626-8854
 - 심원첫집 : 산채정식·닭백숙, 신촌동, 063)632-5475
 
○ 축제 및 행사 정보
 - 춘향제 : 5월경, 063)620-4861~9
 - 바래봉철쭉제 : 5월경, 063)620-6601
 - 허브축제 : 063)620-4892, www.herbfestival.or.kr
 - 뱀사골단풍제 : 10월 하순, 063)620-6188
 - 흥부제 : 음력 9월 8일~9일, 063)620-6181
 - 황산대첩제 : 8월 15일, 063)620-6188
 
○ 주변 볼거리
만인의총, 만복사지, 국악의 성지, 황산대첩비지, 교룡산성, 지리산둘레길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8881

 

전북 오감 10선 10미
    기사등록 일시 [2012-02-15 10:45:24]

【전주=뉴시스】유영수 기자 = '2012 전북방문의 해'를 맞아 전북의 가볼만한 곳 10선과 전북의 맛 10미를 소개한다.

◇전북의 가볼만한 곳 10선

세계 최고의 여행안내서인 프랑스 미슐랭 가이드는 전주 한옥마을과 진안 마이산, 고창 고인돌군에 최고 평점인 별 3개를 줬다. 도심 한가운데 700여채의 한옥이 잘 보존돼 있는 전주 한옥마을은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주의 정체성이 담겨있는 곳이다.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사회 속에서도 고즈넉한 멋을 품고 있는 한옥마을은 관광용 테마파크가 아닌, 실제 주민들이 부대끼며 살아가는 삶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더 가치가 있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모셔진 경기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전주 4대문 중 하나였던 풍남문과 한국 천주교회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는 전동성당이 만들어 내는 경관은 한옥마을에서만 느낄 수 있는 품격있는 아름다움이다.

전주공예품전시관과 전통술박물관, 전통한방문화센터, 한옥생활체험관, 최명희문학관, 전통문화관 등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공간들이 밀집돼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 최근에는 '400만 관광객 시대'를 열었다.

진안 사람들이 수많은 신비와 전설, 역사가 녹아있다고 믿는 마이산은 해발 686m의 암마이봉과 680m의 숫마이봉, 두 개의 봉우리로 이뤄진 마이산은 말의 귀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마이산(馬耳山)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고창 고인돌유적은 200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 1764m 범위에 442기의 고인돌이 분포돼 있어 세계적으로도 밀집도가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형식과 규모도 다양해 고인돌 문화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미국CNN이 선정한 '한국방문시 꼭 가봐야 할 곳'에 전북에서는 남원 광한루와 지리산 뱀사골 실비단 폭포, 대둔산 구름다리, 무주 남대천 섶다리, 고창 동림저수지 등이 꼽혔다.

부안 채석강도 전라북도 절경 중 하나다. 당나라 이태백이 뱃놀이를 하며 강물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 물에 빠져 숨졌다는 중국의 채석강과 흡사하다고 해 채석강이라고 불린다고 하니, 그 아름다움을 가늠하고도 남는다.

군산 새만금과 고군산군도는 새만금 방조제 개통과 함께 전국에서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는 곳이다.

◇전북의 맛 10미

음식 이름 앞에 지명이 들어가야만 제 맛이 나는 음식들이 있다. 이제는 전국적으로 유명해져 고유명사처럼 되어버린 음식 대부분은 전북에서 시작됐다.

'2012 전북방문의 해'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는 전북에서만 맛볼 수 있는 음식들 덕분이다. 우주식품으로 개발된 전주비빔밥과 전주콩나물국밥은 더 설명하면 입이 아플 정도다.

비빔밥 한 그릇에 각종 영양소를 담아내는 철학과 사골 국물로 밥을 짓고 놋그릇에 담아내는 정성을 생각하면 그 맛이 곱절이다.

'국민 해장국'으로 전국으로 퍼져나간 콩나물국밥의 원조는 단연 전주다. 뚝배기에 밥과 콩나물을 넣고 펄펄 끓여내는 콩나물국밥과 토렴하여 말아내는 장터식 국밥으로 종류도 두가지다.

군산 꽃게장은 그야말로 '밥도둑'이다. 서해안 청정지역에서 잡아 그 신선도를 유지시킨 꽃게를 간장과 물, 각종 양념과 한약재를 넣어 끓인 장에 3일간 숙성시킨 음식이다.

임실 민물매운탕과 남원 추어탕은 얼큰한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임실은 섬진강에서 잡은 싱싱한 민물고기로 끓여낸 민물매운탕이 유명하다. 민물고기가 비리지 않고 고소하면서도 얼큰하고 개운하다.

남원은 천거동을 중심으로 추어탕 거리가 형성돼 있다. 지리산 맑은 계곡에서 자란 질 좋은 미꾸라지에 갖은 양념과 산채를 가미한 특유의 요리법으로 일찍부터 추어탕과 숙회가 개발돼 강장음식으로 토착화됐다.

순창 장류는 '최고의 손맛'을 자랑한다. 조선시대 궁중 진상품으로도 유명한 고추장을 비롯한 순창 장류는 항암 및 비만 억제 효과 등 그 우수성이 입증됐으며, 전국 최초로 장류특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고창 풍천장어는 작설차, 복분자술과 함께 고창 3대 특산물 중 하나다. 실뱀장어가 민물에 올라와 7∼9년 성장하다가 산란을 위해 태평양 깊은 곳으로 회유하기 전 바닷물과 민물이 합해지는 지역에 머물게 되는데, 이 때 잡한 장어를 풍천장어라고 한다.

자연산 무공해 나물들이 주인공인 정읍 산채정식은 맛과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웰빙 요리다. 진안 애저와 무주 어죽은 한 번 맛보면 매니아가 될 수 밖에 없는 별미다.

보양제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애저는 특히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하고 물맛이 뛰어난 진안에서 자란 애저 맛이 전국적으로도 유명하다.

무주 어죽은 깨끗한 민물에서 잡은 민물고기를 푹 삶아서 뼈를 발라낸 후 찹쌀과 고추장, 인삼 등 온갖 양념들을 넣고 끓인 고단백 보양식이다.

yu0014@newsis.c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20215_0010484984&cID=10808&pID=10800

 

 

 

 

 

'한국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대록산   (0) 2012.08.02
[제주] 큰사슴이오름 (대록산)  (0) 2012.05.11
한국풍경   (0) 2012.04.22
청산도   (0) 2012.04.22
굴업도   (0) 201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