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연구소 9년째 탐사에도 흔적조차 감감
2008년부터 최고 1천만원 '현상금' 내걸어
(울산=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지금부터 49년 전인 1962년 12월 3일. 정부는 한국계 귀신고래가 자주 출몰했던 울산 앞바다를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廻遊海面)'으로 명명하고 천연기념물 제126호로 지정했다.
귀신고래는 몸길이 16m에 무게가 45t이나 되는 대형 수염고래류에 속한다. 그러나 몸집에 걸맞지 않게 연안 바위틈을 따라 귀신처럼 헤엄쳐 다닌다고 해서 귀신고래란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귀신고래는 현재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세계적 희귀종이 된 상태.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1월3일 울산 방어진 앞바다에서 귀신고래 2마리가 마지막으로 목격되고 나서 34년째 종적을 감췄다.
30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 따르면 2003년부터 올해까지 2005년과 2007년을 제외하고 매년 동해안에서 귀신고래를 찾으려고 목시(目視)조사에 나섰으나 아직 흔적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
고래연구소는 2003년과 2004년, 2006년에는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경북 영덕군 강구항에서 귀신고래 탐사활동을 약 1주일 동안 벌였다.
2008년에는 1월7일부터 11일까지 조사선을 타고 울산에서 경북 포항 앞바다를 다녔으나 허사였다.
특히 한국계 귀신고래 보존을 위한 국제포경위원회(IWC)의 결의를 이행하기 위해 고래연구소는 귀신고래를 애타게 찾고 있다.
고래연구소는 지난 2008년 1월부터 연안 어구에 혼획(混獲. 우연히 그물에 걸려 잡히는 것) 되거나 생존 또는 죽은 귀신고래를 발견해 신고하면 1천만원을, 귀신고래가 유영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고래연구소에 제공하면 500만원을 포상금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고래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귀신고래를 찾습니다'란 포스터를 제작해 어민과 해양경찰청, 해양수산청에 배부하기도 했다.
포상금을 내건 이듬해인 2009년 1월16일부터 22일까지 고래연구소는 울산에서 경북 포항 연안까지 귀신고래를 찾아나섰으나 참돌고래 800여마리를 발견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지난해에는 12월2일부터 10일간 경북 동해와 강원 속초 연안을 뒤졌고, 올해 1월10일부터 18일에는 경북 동해와 강원 강릉 앞바다를 탐사하다 참돌고래와 까치돌고래, 밍크고래를 목격하는 것에 그쳤다.
고래연구소 최석관 박사는 "우리나라에서 상업적 포경은 1946년에서 1985년까지 이뤄졌다"며 "한국계 귀신고래는 1902년부터 1967년까지 65년 동안 총 1천620마리가 잡힐 정도로 개체 수가 많았다"고 밝혔다.
최 박사는 "현재 사할린 해역에 있는 한국계 귀신고래는 130여마리 밖에 안된다"며 "개체 수가 급감하고 울산을 비롯한 동해의 귀신고래 회유해면에 선박이 많이 다니고 어구가 많아서 귀신고래를 찾기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1.향유고래
동물계 척색동물문 포유류강 고래목 향유고래과에 속하는 고래이다.
몸길이가 수컷은 15~18m, 암컷은 11~13m이고 몸무게는 수컷이 57톤 암컷이 43.5톤이다
임신기간이 15~16개월이며 전 세계에 분포해있다
이빨고래류에서 가장크며 이빨은 아래턱에만 있고 잠수력이 뛰어나 1시간 이상 잠수할 수 있다
거대한 머리에서는 품질좋은 기름을 얻을 수 있다
2.흰수염고래
동물계 척색동물문 포유류강 고래목 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이다.
몸길이가 약 27m이고 몸무게는 약 150톤이다
전 세계 해양의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며 일반적으로 오래산다(100년정도 사는 것도 있음)
위턱의 양쪽에 400개의 부드러운 고래수염이 있고, 잠수기간이 비교적 짧다
임신기간은 1년으로, 2년에 1번 임신한다
3.범고래
동물계 척색동물문 포유류강 고래목 돌고래과에 속하는 멸종위기의 고래이다
몸길이는 7~10m이고, 몸무게는 6~10톤이다
전 세계의 바다의 위도가 높고 먹이가 풍부한 해역에서 서식한다
2~40마리씩 무리를 지어다니며 큰 입과 튼튼한 이빨로 주로 물고기나 오징어를 잡아먹는데,
때로 다른 종류의 돌고래나 고래를 습격하기도 하며, 바다표범이나 물개도 잡아먹는다
임신기간은 16~17개월이고 3년마다 1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사육할 경우 지능이 높아 잘 길들이면 여러 가지 재주를 부리기도 한다
4.돌고래
동물계 척색동물문 포유류강 고래목 돌고래과에 속하는 고래이다.
몸길이는 4m 이하이며 태평양,대서양,인도양의 연안의 얕은 곳이나 외양에 서식한다
반드시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주로 오징어와 물고기를 즐겨 먹는다
수중음향의 발신과 수신이 발달되어 있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가 있다
몸에 윤기가 흐르며 피부 색상이 선명하다
이상 고래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임신기간은 아시겠지만 물론 암컷을 말한 거구요
고래의 많은 종류가 거의 멸종위기종이라고 하네요 ㅠㅠ
사람들이 고래한테 나오는 기름을 채취하기 위해서 말이죠
그것말고도 고래는 고기와 뼈, 가죽 등등 유용한게 많다고 하네요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